
23
▶ 숙성 중 중간중간 맛을 보고 적당히 익은 상태가 되면
김치저장 상태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 숙성은 완료되었으나 룸 내부의 온도가 높으니
시원한 김치맛을 느낄 수 없습니다.
숙성이 끝나고나면 저장으로 변경되는데,
이때 드시면 보다 신선한 김치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내부의 온도가 차가운 상태로 시작하기 때문에 김치를
익히는 온도까지 올라가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김치가 덜 익을 수 있습니다.
▶ 양념 종류에 따라 김치가 익어가는 것은 배추에 소금을
절이는 순간부터이며, 저온에서도 서서히 숙성됩니다.
특히, 김치 맛을 나게 하는 양념의 종류 및 사용량에 따라
숙성속도가 다르며 김치를 담는 지역, 종류, 식생활 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마늘, 수산물(굴, 생새우, 조기, 갈치 등), 양파, 고춧가루, 오이,
실파 등이 많거나 굴젓이나 찹쌀풀, 새우젓 등을
첨가하면 숙성되는 속도가 빨라지고, 부추, 갓, 인삼 등을
넣으면 숙성되는 속도가 느려집니다.
▶ 염분의 농도에 따라 김치가 숙성되는데는 염분의 농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소금의 농도가 낮으면 숙성되는 속도가
빠르며 소금의 농도를 약간 높게 하면 익는 속도가 느려집니다.
김치를 용기에서 꺼낸 후 남은 김치를 항상 김칫물에 잠기도록
꾹 눌러주면 빨리 시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숙성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알아두세요.
알맞게 숙성된 김치를 드실 수 있습니다.
김치를 맛있게 숙성시키는
요령을 알고 싶어요
■ 김치 숙성기능을 사용할 때는
■ 김치를 숙성시키기 전에 저장기능을 사용했을 때
■ 김치를 맛있게 숙성시키려면
사용편
김치를 맛있게
익히고 싶어요
Comentarios a estos manuales